표준의 특성
■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분류체계는 직무의 유형(Type)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단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의 전체적인 로드맵을 제시
■ 한국고용직업분류(KECO:Korean Employment Classificaition of Occupations)를 중심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 등을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 ‘대분류(24)→중분류(80)→소분류(238)→세분류(887)’개의 순으로 구성
※ 분류체계 마련을 위해 직업분류, 산업분류 및 자격분류 전문가, 해당산업 분야 전문가 대상 의견수렴 방법을 통해 직종구조분석 시행
■ 한국고용직업분류(KECO:Korean Employment Classificaition of Occupations)를 중심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 등을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 ‘대분류(24)→중분류(80)→소분류(238)→세분류(887)’개의 순으로 구성
※ 분류체계 마련을 위해 직업분류, 산업분류 및 자격분류 전문가, 해당산업 분야 전문가 대상 의견수렴 방법을 통해 직종구조분석 시행
대분류
|
13. 음식서비스
|
14. 건설
|
15. 기계
|
|||||||||
---|---|---|---|---|---|---|---|---|---|---|---|---|
중분류
|
01. 건축공사관리
|
02. 토목
|
03. 건축
|
04. 산업환경 설비
|
||||||||
|
||||||||||||
소분류
|
01. 건축 설계ㆍ감리
|
02. 건축시공
|
03. 건축 설비 설계ㆍ시공
|
|||||||||
세분류
|
01. 건축목공
|
02. 미장
|
03. 방수
|
04. 타일시공
|
||||||||
[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체계도(예시)]
분 류 | 분류기준 |
---|---|
대분류 |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한국고용직업분류 참조) |
중분류 |
대분류 내에서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 대분류 내에서 산업이 유사한 분야 대분류 내에서 노동시장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경력개발경로가 유사한 분야 중분류 수준에서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가 존 |
소분류 |
중분류 내에서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 소분류 수준에서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가 존재하는 분야 |
세분류 |
소분류 내에서 직능유형이 유사한 분야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직업 중 대표 직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