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의 개념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 한 것으로, 산업현장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
(지식·기술·태도)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을 의미
산업현장 적합 인적자원개발
개선

자격

경력개발

교육훈련

적용
국가직무능력표준 오른쪽화살표
지식
기술
태도
지식
기술
태도
산업계 요구
산업현장 오른쪽화살표
지식
기술
태도
기술
태도
지식
산업현장 적합 인적자원개발
개선

자격

경력개발

교육훈련

적용
국가직무능력표준 오른쪽화살표
지식
기술
태도
지식
기술
태도
산업계 요구
산업현장 오른쪽화살표
지식
기술
태도
기술
태도
지식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념도]
표준의 특성
한 사람의 근로자가 해당 직업 내에서 소관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실제적인 수행능력을 의미
-직무수행능력평가를 위한 최종 결과의 내용 반영
-최종 결과는 ‘무엇을 하여야 한다’ 보다는 ‘무엇을 할 수 있다’는 형식으로 제시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수행능력을 포괄하여 제시
-작업능력 : 특정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
-작업관리능력 : 다양한 다른 작업을 계획하고 조직화하는 능력
-돌발상황 대처능력 : 일상적인 업무가 마비되거나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 대처하는 능력
-미래지향적 능력 : 해당 산업관련 기술적 및 환경적 변화를 예측하여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
모듈(Module)형태의 구성
-한 직업 내에서 근로자가 수행하는 개별 역할인 직무능력을 능력단위(unit)화하여 개발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여러 개의 능력단위 집합으로 구성
산업계 단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개발
-해당분야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관련 단체 등이 참여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산업현장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근로자 또는 전문가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단계마다 참여
표준의 활용 영역
국가직무능력 표준은 산업현장의 직무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일-교육-훈련-자격’을 연결하는 고리, 즉 인적자원개발의 핵심 토대로 기능

기업체

경력개발경로, 직무기술서,
채용배치승진체크리스트
자가진단도구

교육훈련기관

교육훈련과정, 훈련기준
모듈교재 개발

NCS

자격기관

출제기준, 검정문항
검정방법, 자격종목개편

직무분석

NCS

기업체

경력개발경로, 직무기술서,
채용배치승진체크리스트
자가진단도구

교육훈련기관

교육훈련과정, 훈련기준
모듈교재 개발

자격기관

출제기준, 검정문항
검정방법, 자격종목개편

직무분석
산업현장 (일)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기능]
국가직무능력표준은 교육훈련기관의 교육훈련과정, 직업능력개발 훈련기준 및 교재 개발 등에 활용되어 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에 기여하고, 또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력개발경로 개발, 직무기술서, 채용·배치·승진 체크리스트, 자가진단도구로 활용 가능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여 교육훈련과정, 훈련기준, 자격종목 설계, 출제기준 등 제·개정시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여 전문대학교 및 마이스터고·특성화고 교과과정을 개편

구분 활용콘텐츠
산업현장 근로자 평생경력개발경로, 자가진단도구
기업 직무기술서, 채용ㆍ배치 승진 체크리스트
교육훈련기관 교육훈련과정, 훈련기준, 교육훈련교재
자격시험기관 자격종목 설계, 출제기중, 시험문항, 시험방법